본문 바로가기
정보

일본 미술 우키요에의 개요, 역사, 제작법

by KARGI 2023. 12. 28.

에도시대의 예술은 공가파와 대명파의 후원을 받았으며, 도사파와 가노파가 주도했습니다. 이 안에서는 풍속화도 그려졌으나 1654년 경 쇠퇴해 서민들이 풍속화를 그리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도사파나 가노파에서 전향한 예술가나 서민 출신의 화가들이 우키요에의 기원을 형성했다는 의미입니다. 메이레키노 타이카에 의해 에도가 불타버린 후, 시민들의 경제력이 강해지면서 풍속화는 계급 기풍의 요구에 맞춰 변화했습니다. 이와 같은 풍속화는 일종의 가교 역할을 했던 마타베 이와사(Matabe Iwasa)의 화실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히시카와 모리노부는 풍속화를 독립화로 전환시켜 우키요에의 창시자로 불립니다.

 

 

우키요에
우키요에

우키요에의 개요

우키요에(풍속)화의 형태는 '육필화' (붓으로 그린 것)와 '목판화' (그린 것을 인쇄한 것)로 나뉩니다. 우키요에는 돈이 없는 소시민을 상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목판화로 그리게 되었고, 목판화를 대량으로 인쇄하여 소민들 사이에서 퍼지게 되었습니다. 상업 자본인 판원의 기획 아래, 화가(그림 그리기), 조각사(원판 조각), 마단사(인쇄)의 분업 체제가 확립되었으며, 대량으로 인쇄함으로써 저렴하게 판매하거나, 도서의 경우 빌릴 수 있었습니다. 우키요에의 주제는 정치적이거나 경제를 쥐고 있는 계급이 아닌 소민과 동네 사람들이 본 풍속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 수도 매우 다양합니다. 초기에는 극장이나 유흥가, 스모, 공연 등 특정한 주제로 작업이 되었으며, 에도 내의 많은 배우 그림이나 미인화가 그려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이후에는 무사화나 풍경화 (명소화)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로 확장되었습니다. 동시에 유행이나 보도를 할 수 있는 수준의 사회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정부 체제에 대한 비판이나 풍속의 난조를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내용을 규제하는 금령이 정부로부터 발표되는 사태도 있었습니다.

 

우키요에의 역사

최초의 우키요에는 판화가 없었습니다. 붓으로 그린 것인 육필화뿐이었습니다. 모모야마 시대의 "낙중 낙외도병풍"과 비교했을 때, 이와사 마타베의 동평풍은 민중의 묘사가 훨씬 두드러졌으며, 거기서부터 관영년 년간 (1624-44년)경에 "히코네평풍", "마쓰라 병풍" 등의 대단한 작품이 탄생하여, 우키요에는 현세인물풍속을 전면에 내세우게 되었습니다. "탕녀도" (모아 미술관 소장 중인 일본의 중요 문화재)에서 보이는 제일 세 번째 벚꽃무늬 소매의 여인이 "쿠(く)" 자세로 몸을 접는 모습은 후에 히시카와 사선 등의 "보답 미인도"의 원형이 되었다는 소문또한 있습니다. 미인화는 풍속화에서의 발전뿐만 아니라, 선사에 있던 명조 양귀비를 일본 여성에 맞춰 입혔다는 이야기또한 있습니다. 히시카와 사선은 안방국의 봉방 (금은터를 섞은 자수) 제작자로 시작했으며, "보상 미인" (도쿄 국립 박물관 소장)을 대표하는 가죽(깔개)외에, 권자, 우키요 처자, 베개 그림 등의 판본과 다양한 활동을 했습니다. 사선의 등장은 17세기 후반에 에도의 문화가 상향되어 다른 문화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판본은 처음에는 잉크 한 가지로만 되어 있었지만, 후기 작품으로서는 잉크 인쇄본에 붓으로 색칠하는 "단화"가 나타나고, 한 장씩또한 등장했습니다. 시간이 흘러 오쿠라 마사노부라는 화가는 붉은색 염료로 색칠한 적지나, 먹에 붙은 풀을 많이 섞어 유광을 내는 쇳그림, 기둥그림에 떠있는 흐림이나, 흑백반전의 석그림의 창시에도 관여했습니다. 또한, 그림가뿐만 아니라 판본 "오쿠무라야"를 운영하여 자유로운 작화와 판매 경로를 확보했습니다. 또한, 자신의 작품을 취급할 뿐만 아니라 다른 판본과 상품을 도매하여 상기를 확장했습니다.

 

우키요에 제작법

우키요에의 제작법은 아다치 코바야시와 이케다의 방법을 기본으로 합니다. 판원은 기획을 짜는 사람을 일컫고, 판원의 주문을 받고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그림사(미술가)라고 부릅니다. 판원의 기획을 받아 그림사에게 그림을 의뢰하게 되면, 판원은 밑그림을 그린 뒤 영주에게 제출한 뒤 출판 허가를 받아 조각사에게 전합니다. 조각사는 밑그림을 본따 목판에 조각을 하게 됩니다. 그렇게 밑그림의 판화를 다 땄다면, 열여 장 정도를 그림사에게 전달합니다. 그림을 받은 그림사는 아직 색이 칠해지지 않은 그림에 색을 지정하고, 세세한 무늬를 그리게 됩니다. 조각사는 지정받은 색의 색판을 만들어 다시 찍어낸 뒤 그림을 전체적으로 완성합니다.